알레르기성 비염은 어떤 물질 (원인 항원)에 대하여 코의 속살이 과민 반응을 일으켜 발작적이고, 반복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코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위중한 질환은 아니지만, 심한 증상과 더불어 환자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습니다.
알르레기성 비염 예방법 6가지
알레르기성 비염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이 발병하는 원인으로 ‘가족력’이 있습니다. 어머니나 아버지가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을 경우 자녀에게 알레르기성 비염이 발병할 위험이 증가합니다 . 알레르기성 비염의 증상은 민감한 면역 계통을 지닌 사람이 꽃가루, 먼지, 비듬과 같은 알레르겐을 흡입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알레르겐은 실내와 실외 모두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실내에서는 집먼지진드기, 반려동물의 비듬, 바퀴벌레 분비물 등이 있습니다. 실외에서는 꽃가루가 가장 중요한 원인 물질로,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을 일으킵니다 . 치료법으로는 약물 치료와 알레르겐 회피가 있습니다. 약물 치료로는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비강스프레이, 소염진통제 등이 사용됩니다. 알레르겐 회피는 알레르겐에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집안의 청결 유지, 공기청정기 사용, 꽃가루가 많은 날씨에는 외출 자제 등이 있습니다 .
알레르기성 비염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6가지
1. 실내 공간은 수시로 환기해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2. 봄철 꽃가루가 심할 때는 가급적 외출을 삼가고, 외출 시에는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권장합니다.
3. 매연이나 먼지가 많은 곳은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
4.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규칙적인 생활 습관으로 건강 관리가 필요합니다.
5. 침구류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해 집먼지 진드기가 번식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6. 비타민 C는 알레르기나 염증에 나타나는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에 비염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미나리에 함유된 칼륨은 몸속에 있는 노폐물이나 미세먼지 등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좋습니다.
비염과 동시에 나타나는 증상은?
비염은 일반적으로 알레르기성과 비알레르기성의 두 그룹으로 나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어떤 물질 (원인 항원)에 대하여 코의 속살이 과민 반응을 일으켜 발작적이고 반복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코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부비동, 중이, 비강인두 및 하기도로부터 비롯됩니다. 일반적인 비염 증상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코뒤 흐름 (후비루)
충혈
가려운 눈
눈물
반복적인 재채기
두통
코의 가려움
안면 통증
귀의 통증
피로
비염은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결막염, 부비동염, 폴립증, 상기도 감염, 중이염, 수면 장애가 있는 환자와 학습 장애 및 주의력 결핍이 있는 소아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천식 환자의 80% 이상이 동시에 비염도 앓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의 기도에 하나의 질병 (one airway, one disease)”이라는 개념을 시사합니다.
알르레기성 비염을 치료하는 약물
알레르기성 비염의 약물 치료로는 비강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항히스타민제가 있습니다. 비강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는 Fluticasone propionate, Triamcinolone, Mometasone, Budesonide가 있으며, 항히스타민제에는 Loratadine, Cetirizine, Fexofenadine가 있습니다 . 하지만, 약물의 선택은 개인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 다르므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칼슘, 비타민 D 영양제 섭취는 언제가 좋을까?
치아의 내인성 착색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헤어졌을 때, 극복할 수 있는 방법 6가지